설날 차례상 차리기·지방 쓰는 법 총정리
컨텐츠 정보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설을 맞아 차례상 차리는 방법, 차례상 차릴 때 주의할 점, 지방 쓰는 법 등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해 본다.
■ 설 차례상 차리는 법
차례상을 차리는 법은 지방마다 달라 어떤 것이 옳다고 말하기 어렵다. 다만 차례상을 차리는 원칙은 거의 동일하다.
차례상은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으로 본다. 제주(제사의 주장이 되는 상제)가 있는 쪽이 남쪽이고, 제주가 바라볼 때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되는 것이다. 차례상은 보통 5열로 차린다. 병풍에서 가까운 쪽을 1열로, 멀어질수록 차례대로 2열, 3열 등으로 본다.
[1열] 반서갱동 시접거중 : 술잔, 밥, 시접, 국, 떡국
시접(수저 그릇)과 술잔을 놓고 밥을 올리는데, 설 차례상에는 떡국을, 추석에는 송편을 올리기도 한다. 상을 차리는 사람이 봤을 때 밥과 술잔은 왼쪽(서쪽), 오른쪽(동쪽)에는 떡국을 놓고 시접은 가운데에 둔다. 이때 국수와 편은 집안 전통과 상황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2열] 어동육서 동두서미 :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
2열에는 고기, 소적(두부)와 생선류의 순서로 올린다. 이때 어동육서에 따라, 고기로 만든 것은 왼쪽(서쪽), 생선으로 만든 것은 오른쪽(동쪽)에 놓아야 한다. 또 생선은 동두서미에 따라 머리는 동쪽에 꼬리는 서쪽이 되도록 놓는다.
[3열] 탕 : 육탕, 소탕, 어탕
육탕(고기), 소탕(두부, 채소 등으로 만든 탕), 어탕(생선)은 3열에 올라간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고기로 만든 육탕이 왼쪽(서쪽), 어탕이 오른쪽(동쪽)에 위치한다. 촛대는 3열 좌우에 놓는다.
[4열] 좌포우혜 : 포, 삼색나물, 침채(물김치), 식혜
4열에는 생선포를 왼쪽(서쪽)에, 식혜를 오른쪽(동쪽)에 올린다. 삼색나물은 도라지, 고사리, 시금치로 올린다.
[5열] 조율이시 홍동백서 : 대추, 밤, 배, 감
5열에는 왼쪽(서쪽)부터 조율이시에 따라 대추, 밤, 배, 감(곳감) 순으로 올린다. 그리고 그 오른쪽(동쪽)에 홍동백서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차리면 된다. 그 외에 약과, 강정, 한과 등을 올리게 된다.
■ 차례상 차릴 때 주의할 점
상차림에 있어서 주의할 점 5가지가 있다.
~치 자로 끝나는 생선 No! : 예로부터 삼치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들어간 생선은 흔하다 하여, 차례상에 올리지 않는다.
털이 있는 과일 No! : 과일 중 복숭아와 같이 털이 있는 과일은 차례상에 올리지 않는다. 조상들은 복숭아가 귀신을 물리치는 힘이 있다고 믿어, 차례상에는 쓰지 않았다.
향신료는 No! : 차례 음식에는 향신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고춧가루나 마늘은 귀신을 쫓는 대표적인 음식이기 때문이다.
짝수가 아닌 홀수로! : 짝수는 양을 의미하고 홀수는 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음식을 올릴때는 홀수의 개수로 올려야 한다.
제사를 지낼 때는 붉은 팥 시루떡을 쓰지만, 차례상에는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의 떡을 사용해야 한다.
■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신주를 모시고 있지 않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종이에 적는 것을 뜻한다. 신주는 죽은 사람의 이름과 날짜를 적은 위패다.
명절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폭 6cm, 길이 22cm가량의 종이에 한자로 쓰면 된다. 원칙은 한자로 쓰는 것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적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제사를 지낼 때 부모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는 단독으로 지내니 지방에도 한 분만 쓴다. 그런데 두분 다 돌아가시면 같이 지내므로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쓴다. 이때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쓴다.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맨 위에 쓴다. 이어 제사를 지내는 사람(제주)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神位)를 적는다.
직위를 적을 때는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 벼슬 이름을 쓴다.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고 적는다.